줄거리
〈빈센조〉는 이탈리아 마피아 조직의 변호사로 활동하던 한국계 이민자 ‘빈센조 까사노’가 한국으로 돌아오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 그는 이탈리아 마피아의 내부 갈등 속에서 배신당하고, 숨겨둔 금괴를 찾기 위해 한국의 ‘금가프라자’로 오게 된다. 그곳에는 그의 금괴가 묻힌 지하실이 있고, 이를 되찾기 위해 세입자들과 협력하거나 때로는 속이면서 여러 사건에 휘말린다. 동시에 한국에서 악덕 대기업 바벨 그룹의 범죄와 부패가 드러나고, 빈센조는 정의라는 명목으로 이들과 맞서 싸우기 시작한다. 그는 마피아식 방식, 즉 법과 윤리를 초월한 수단을 사용해 악을 응징한다. 그 과정에서 홍차영이라는 정의감 넘치는 변호사와 함께하면서 한층 복잡하고 인간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단순한 복수극이나 코미디로만 보이지 않는 이유는, 이 드라마가 가진 다층적인 주제의식과 스토리텔링 때문이다. 코믹과 누아르, 스릴러가 자연스럽게 섞인 서사는 시청자에게 계속 긴장과 웃음을 동시에 안기며, 빈센조가 점차 한국이라는 공간에 정착해가고, 진정한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을 설득력 있게 그려낸다.
등장인물 소개
송중기는 주인공 ‘빈센조 까사노’ 역을 맡아 냉철하고 카리스마 있는 마피아 변호사의 모습을 그려냈다. 그는 이탈리아에서 성장했지만 한국계라는 정체성을 품고 있으며, 한국에 돌아와 처음엔 단지 금괴만을 노리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바벨 그룹의 만행을 목격하면서 점점 정의 실현에 뛰어들게 된다. 반면, 홍차영(전여빈 분)은 원래는 승소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현실적인 변호사였으나, 아버지의 죽음 이후 바벨 그룹에 맞서는 이상적인 정의파로 변모한다. 그녀는 빈센조와 티격태격하면서도 진정한 동료로 거듭난다. 또 하나 주목할 인물은 장준우 역의 옥택연이다. 그는 처음에는 순진하고 유쾌한 인턴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바벨 그룹의 실질적인 수장으로, 극 후반부의 충격적인 반전을 이끈다. 이외에도 금가프라자에 모여 사는 다채로운 세입자들, 고무장(윤병희), 남주성(윤병희), 유춘재(최덕문) 등도 각각의 개성으로 극에 활기를 불어넣는다. 이들은 단순한 조연이 아닌, 빈센조의 복수와 정의 실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야기의 균형을 잡아주는 존재들이다.
국내외 평가
〈빈센조〉는 방영 당시부터 국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첫 회부터 강렬한 연출과 독특한 분위기, 그리고 송중기의 색다른 이미지 변신이 주목을 받았다. 특히 정의 구현이라는 주제를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그것을 마피아의 방식으로 비틀어낸 설정이 신선했다. 코믹과 누아르를 오가는 전개 방식, 개성 넘치는 캐릭터, 탄탄한 연기력 등으로 호평을 받았다. 시청률은 중반부터 상승 곡선을 그리며 14.6%(최종회 기준)를 기록했고, tvN 역대 드라마 중 상위권에 속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해외에서도 넷플릭스를 통해 전 세계 10여 개국 이상에서 ‘TOP10’에 진입하며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특히 아시아권에서 높은 반응을 얻었으며, 미국과 유럽권에서도 ‘복수극의 새로운 해석’이라는 평을 받았다. 다만 일부에서는 폭력성과 비윤리적인 수단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으나, 그것이 현실에 대한 은유적 장치로 해석되면서 예술성과 오락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장르적 실험과 서사적 다양성 면에서 한국 드라마의 저력을 다시금 보여준 사례라 평가된다.
시사점
〈빈센조〉는 법과 제도로는 해결할 수 없는 악에 대해 어떻게 맞서야 하는지를 묻는다. 빈센조가 선택한 방식은 법적 절차나 윤리를 따르지 않지만, 역설적으로 ‘진정한 정의’에 가까운 방식으로 묘사된다. 이는 현실에서 법이 악을 보호하는 도구로 전락한 순간들에 대한 통렬한 풍자이기도 하다. 특히 재벌과 권력이 결탁해 만들어내는 부패 구조 속에서, 개인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은 많은 시청자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금가프라자 사람들의 연대는 한국 사회에서 공동체의 힘을 다시 돌아보게 한다. 약자들이 뭉쳐 거대한 악에 대항하는 모습은 이상적이지만, 동시에 현실 가능한 희망으로 제시된다. 드라마는 끝까지 ‘정의는 결국 구현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선과 악의 경계가 모호한 세상에서 인간은 어떤 기준으로 옳고 그름을 판단해야 하는가를 성찰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빈센조〉는 통쾌한 복수극이자 사회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서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느낀점
〈빈센조〉는 한 편의 영화처럼 압도적인 몰입감을 주는 드라마였다. 송중기는 그동안의 부드럽고 따뜻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차가운 복수자이자 정의구현자로서의 새로운 얼굴을 보여줬다. 이탈리아어 대사, 무자비한 전략, 그리고 냉정한 표정 속에서도 인간적인 고뇌를 엿볼 수 있었고, 전여빈과의 케미스트리는 로맨스를 뛰어넘어 믿음과 동료애로 이어졌다. 특히 장준우 캐릭터는 한국 드라마에서 보기 드문 악역으로, 시청자에게 깊은 충격과 긴장감을 선사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통속적일 수 있는 복수극을 풍자와 유머, 감동, 긴장감으로 다채롭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인상 깊었다. 마피아식 정의라는 독특한 콘셉트는 전통적인 선악 구도에 신선한 반향을 주었고, 한국 사회의 모순과 구조적 문제를 날카롭게 비틀었다. 개인적으로는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명작 중 하나로, 매 에피소드가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흡입력 있었다. 끝까지 완성도 높은 연출과 연기로 채워진 작품이었다.